고대인이 남긴 흔적, 현대 역사학자의 합리적 의심과 논리적 추론!
한국 고대사의 38가지 쟁점을 풀어 나가다
단행본
교양서
『한국 고대사 산책 : 한국 고대사에 관한 38가지 팩트 체크』 (역사비평사, 2017) 작성자 한국역사연구회 BoardLang.text_date 2017.03.23 BoardLang.text_hits 31,336 |
|
출판사 서평고대인이 남긴 흔적, 현대 역사학자의 합리적 의심과 논리적 추론! 한국 고대사의 38가지 쟁점을 풀어 나가다 시대사 또는 각국사로 담아내기 어려운, 한국 고대사의 6개 대주제 한국 고대사는 시대사 또는 각국사로 담아내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예컨대 삼국시대의 경우 고구려, 백제, 신라를 따로 떼내어 각국사로 서술한다면 삼국 간 역동적이고 복잡한 상호 관계를 그려내는 데 한계가 있고, 시대사로 서술한다면 서로 다른 각국의 정치 발전 단계를 고려해야 하는데 이 역시 만만찮은 일이다. 그뿐 아니라 고대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사료 비판의 문제라든지, 현재 시점에서 논란이 끊이지 않는 역사 왜곡 등의 문제를 파고들어가기가 쉽지 않다. 이 책은 한국 고대사의 입문서, 아니 더 나아가 한국사의 입문서, 역사학의 입문서라 할 수 있다. 역사학에서 가장 근본이라 할 만한 사료 분석과 비판을 바탕으로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서술해 나가기 때문이다. 시대사로 충족되지 못했던 고대 영역과 인물의 생동감 넘치는 이야기, 유적과 유물에서 추리해내는 고대인의 삶과 사상 등, 이 책에 서술된 다양한 주제는 고대사를 이해하기 위한 필수 코스이다. 이 6개의 대주제하에 묶인 38편의 글은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어느샌가 고대인의 치열한 삶의 모습을 발견할 수도 있고, 역사적 사실과 진실을 마주하는 태도에 대해 생각해볼 수도 있다. 판타지에서 벗어나 역사적 실체에 접근하다 한국 고대사에 관한 ‘팩트 체크’ 한국역사연구회를 대표하여 서문을 쓴 하일식 연세대학교 교수는 이렇게 말한다. “고대사의 영역에는 ‘사실 자체’를 판정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은 편이다. 이 때문에 여러 의문이 생겨나고 서로 다른 주장을 내세워 논란도 따르기 마련이다. 그러나 역사를 이야기할 때는 언제나 ‘사실’에 바탕을 두어야 하며, 과거와 현재의 관계 속에서 합리적으로 이해할 방향을 찾아야 한다. ‘영광스런 고대사’나 ‘광대한 영토’에 끌리기 쉽지만, 막연한 환상이나 아쉬움으로부터 비롯된 것은 아닌지 짚어볼 필요가 있다. 현실에 대한 불만으로 과거에 대한 환상을 만들어서는 안 된다.” 고대사의 이 같은 특성 때문에 ‘유사 역사학’이 등장하고, 학문으로서가 아닌 정치의 입김이 작용하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과학적 역사 인식은 반드시 필요하다. 오히려 고대사에는 더욱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태도가 요구된다. 이 책의 필자들은 하나같이 자의적 해석이나 이성적이지 못한 서술 태도를 경계한다. 독단적인 태도를 주의하고 과거의 환상에 빠져들지 않으며, 역사상에 나타난 제도나 현상을 당시의 사회상에 비춰 해석한다. 그리하여 이 책에 서술된 각각의 주제는 고대사에 관한 ‘팩트 체크’라 불러도 무방하다. 목차Ⅰ. 기록 : 신화와 설화 01. 지어낸 『환단고기』, 만들어낸 ‘환국’ 02. 필사본 『화랑세기』를 둘러싼 논쟁 03. 단군, 신화의 인물인가 실존 인물인가 04. 바보 온달과 평강공주의 사랑 이야기 05. 서동과 선화공주의 결혼 이야기 06. 광개토왕릉비와 고구려인의 천하관Ⅱ. 공간 : 그때와 지금 07. 고조선의 중심지와 영역 08. 낙랑군 식민지설은 식민사학의 논리 09. 백제의 요서 진출에 대한 합리적 접근 10. 일본 왕실의 기원이 백제라는 설 11. 중국이 동북공정을 추진한 이유 12. 통일신라시대인가, 남북국시대인가Ⅲ. 소속 : 출신과 국적 13. 기자조선의 실재 여부 14. 위만의 출신, 연나라 혹은 고조선 15. 을지문덕은 고구려 사람이 아닌가 16. 대조영의 출신, 말갈인 또는 고구려인 17. 처용 설화, 신라에 온 서역인 Ⅳ. 인물 : 이상과 현실 18. 이차돈의 순교, 역사에서 신화로 19. 백제 멸망과 의자왕의 3천 궁녀 20. 연개소문, 영웅 혹은 독재자 21. 김춘추와 김유신, 꿈과 야망의 결합 22. 원효와 의상, 불교적 이상 사회 23. 장보고, 골품제의 벽을 뚫은 인물 Ⅴ. 함정 : 역사와 사실 24. 고구려보다 빠른 신라 건국 기록 25. 세 성씨가 교대로 왕이 된 신라 26. 임나일본부설이 지닌 문제 27. 고구려가 삼국을 통일하지 못한 이유 28. 신라에만 여왕이 나왔던 이유 29. 화랑과 화랑도의 실체 30. 화백회의는 민주주의의 원형이 아니다 Ⅵ. 흔적 : 유적과 유물 31. 고인돌을 만든 이유 32. 고대인이 순장을 한 이유 33. 신라 금관의 비밀 34. 거대한 고분을 만든 까닭 35. 목간으로 본 고대의 일상 36. 고분벽화의 세계 37. 첨성대의 수수께끼 38. 문무왕과 해중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