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쟁과 국제정치동아시아 냉전과 6·25전쟁 21
양영조
1. 전후 동아시아에 맴도는 냉전의 기운 23
2. 종전 직후의 동아시아 정세 24
3. 태평양연맹안 제기와 미국의 입장 27
4. 북.중.소 결집과 전쟁으로의 길 37
5. 전쟁으로 구체화된 동아시아 냉전 41
미소의 38선정책과 남북 갈등의 기원 45
정병준
1. 38선 분단과 38선 충돌 47
2. 미소의 진주와 38선의 군사경계선화 48
3. 미소의 38선정책과 합동조사 52
4. 1945~1950년의 38선 충돌 59
5. 미소 점령이 남긴 유산 65
한국전쟁의 기본개념으로서 제한전의 성립과 분화 75
도진순
1. 전쟁에 대한 개념적 이해 77
2. 전쟁 전야: 한반도의 전략적 가치 78
3. 기본개념: 반공격의 제한전 86
4. 제한전의 범위 논쟁과 분화 92
5. 합의와 차이 99
6. 한반도의 전략적 가치와 세 가지 제한전 103
한국전쟁 속의 스탈린 111
기광서
1. ‘수령 중의 수령’ 113
2. 전쟁 이전 대한반도 인식 114
3. 개전에 대한 이중적 태도 102
4. 우방 군대의 참전 문제 123
5. 휴전에 이르는 길 109
6. 전쟁의 ‘총지휘자’ 스탈린 131
한국전쟁 휴전회담 협상전략과 지휘체계 137
김보영
1. 전쟁의 주체, 협상의 주체 139
2. 휴전 모색과 협상의 개시 124
3. 중국.북한.소련의 휴전협상전략과 대표단 구성 145
4. 미국 주도의 휴전협상전략과 대표단 구성 152
5. 협상의 객체, 남과 북 162
유엔군사령부의 ‘수복지구’ 점령정책과 행정권 이양 167
한모니까
1. ‘수복지구’란 무엇인가? 169
2. 유엔군사령부의 ‘수복지구’ 점령=사실상의 미군정 171
3. 행정권 이양 결정과 절차 174
4. 주권 문제: 법적 처리의 보류와 유엔군사령관의 군사적 관할권 보유 182
5. ‘수복지구’의 통치권 문제 190
미국의 정전협정 일부 조항 무효선언과 그 의미 197
박태균
1. 끝나지 않은 전쟁 199
2. 숨 가빴던 1958년의 첫 두 달 200
3. 사전 정지작업 1: 중립국감시위원단의 철수 203
4. 사전 정지작업 2: 정전협정 13조 (d)항의 효력정지 선언 207
5. ‘뉴룩’ 정책, 그리고 정전협정 210
6. 정전협정의 한계와 불안정한 정전체제 214
2부 전쟁과 군사전략
맥아더의 한국전쟁 군사전략 221
이상호
1. 맥아더와 한국전쟁 223
2.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미군 철수 224
3. 한국전쟁의 발발과 맥아더 사령부의 초기 대응 225
4. 미군의 초기 개입과 지연전 227
5. 맥아더의 인천상륙작전 구상과 성공적 실행 229
6. 38선 돌파와 북진정책 231
7. 웨이크 섬 회담과 중국군의 개입 233
8. 중국군의 참전과 미군의 대응 236
9. 제한전에서 전면전으로, 맥아더의 확전 주장 238
10. 해임과 ‘맥아더 청문회’ 239
중국군의 한국전쟁 참전과 군사전략 245
양영조
1. 참전의 목적과 이익 247
2. 참전 결정과정과 마오쩌둥 248
3. 작전방침 논의와 참전 252
4. 지구전 결정과 군사개혁 추진 255
5. ‘전쟁 중에 전쟁을 학습’한 중국군 262
미군의 삐라 심리전과 냉전 이데올로기 267
정용욱
1. 전쟁사, 전쟁 기억, 전쟁 이미지 269
2. 6?25전쟁기 심리전과 삐라 271
3. 삐라, 이미지 전쟁, 이데올로기 281
4. 심리전의 인식론 288
5. 선전전쟁으로서의 6?25전쟁 295
무제한전쟁을 향하여
: 한국전쟁기 미 공군 공중폭격작전의 성격 변화 299
김태우
1. 공중폭격을 통해 본 한국전쟁 제한전쟁론 301
2. 군사목표 정밀폭격: 전쟁 초기 미 공군의 전략항공작전 304
3. 군사목표로 변한 민간지역: 1950년 11월 이후 민간지역 무차별 폭격 313
4. 제한적 공간, 무제한적 목표 321
공중폭격과 민간인 희생
: 1951년 1월 산성동 폭격사건과 미10군단의 파괴정책을 중심으로 327
도진순
1. 공중폭격 문제의 관문, 산성동 329
2. 배경: 1951년 1월 소백산맥 지역과 네이팜탄 폭격 330
3. 폭격의 진상: 세 번의 폭격과 민간인 피해 335
4. 폭격의 원인: 학가산 적정 344
5. 오폭의 근원: 산성동 좌표 편입과 조직적 파괴정책 350
6. 산성동 폭격사건이 남긴 과제 358
북한의 비정규전 조직과 전개 365
김광운
1. 엇갈리는 비정규전의 평가 367
2. 전쟁의 발발과 북한의 유격전을 통한 제2전선 구축 시도 369
3. 유격부대의 대연합부대 조직과 활동 372
4. 북한 측 비정규전의 성격과 의의 387
한국전쟁 전후 빨치산의 형성과 활동 395
이선아
1. ‘빨치산’의 유래와 관련 연구 현황 397
2. 한국전쟁 이전 빨치산 활동 399
3. 개전 이후 유격대 형성과 활동 405
4. 빨치산 대원 구성과 입산 생활 419
5. 빨치산의 소멸과 향후 연구과제 426
주한미군사고문단의 조직과 주요 활동 433
박동찬
1. 주한미군사고문단 연구의 필요성 435
2. 주한미군사고문단의 조직과 임무 437
3. 주한미군사고문단의 주요 활동 445
4. 광범위한 군사고문단 활동 463
3부 전쟁과 사회
한국전쟁기 남한 민간인 인명피해 조사의 유형과 특징
: 한국정부의 통계·명부를 중심으로 471
정병준
1. 희생과 피해의 다양한 유형들 473
2. 한국정부의 조사?통계의 변화 474
3. 피납치자?납북자에 대한 조사 477
4. 월북자?행방불명자에 대한 조사 484
5. 사망자?부상자에 대한 조사 488
6. 피살자에 대한 조사 493
7. 통계·명부 자료 발굴과 연구를 위한 일제언 499
6.25남북전쟁시기 이북 지역에서의 민간인 학살 505
이신철
1.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의 필요성 507
2. 민간인 피해의 실상 509
3. 민간인 학살의 사례 517
4. 민간인 학살의 책임 문제 530
국민보도연맹, 과연 전향자단체인가 537
김선호
1. 국민보도연맹에 관한 두 가지 시선 539
2. 국민보도연맹은 어떻게 조직되었는가 540
3. 국민보도연맹원은 어떤 사람들이었는가 552
4. 국민보도연맹의 성격 565
한국전쟁기 대구지역 피난민의 실태와 구호활동 569
양영조
1. 전쟁의 상징, 피난도시 대구 571
2. 피난민 대책의 한계 572
3. 대구지역으로의 피난민 유입과정 576
4. 대구지역 피난민의 수용과 구호활동 583
5. 전쟁기지와 피난처로서의 이중 역할 590
마을에서의 전쟁경험과 그 기억
: ‘이천의 모스크바’로 불린 마을의 경험 595
이용기
1. 민중의 전쟁경험을 찾아서 597
2. 전쟁 전의 마을 600
3. ‘인공’ 점령기의 전쟁 동원과 마을의 대응 608
4. 대한민국 질서하의 국가-농민 관계 616
5. 전쟁의 경험?기억?구술 622
전쟁 인플레이션과 ‘백재정’ 629
정진아
1. 경제관료진에 주목하는 이유 631
2. 전쟁 인플레이션과 백두진의 등장 632
3. ‘백재정’의 담당자들 635
4. ‘백재정’의 목표와 내용 640
5. 마이어 협정과 ‘백재정’의 귀결 644
6. ‘백재정’의 성격 648
6.25전쟁기 전비지출 문제와 경제조정협정 653
이현진
1. 유엔군대여금의 상환 문제와 원조의 역할 655
2. 전시하 한국의 경제 상황과 전비지출 문제 656
3. 한미회담의 개최와 유엔군대여금의 상환 문제 660
4. 마이어 사절단의 방한과 경제조정협정의 체결 666
5. 유엔군대여금의 해결방식과 경제원조의 성격 672
한국전쟁과 임시토지수득세의 실시 677
김소남
1. 전시체제하의 조세 및 양곡정책의 전환 679
2. 한국전쟁의 발발과 임시토지수득세법의 제정 680
3. 임시토지수득세의 시행과정 685
4. 전후 경제안정정책으로서의 역할 696
부록 : 한국전쟁 관련 자료 수집 및 발굴 현황
남북한 자료의 발굴?정리?활용 현황 / 한모니까 703
미국 자료 국내 수집 현황 / 윤시원 715
러시아 자료 발굴 및 정리 현황 / 이재훈 725
중국 자료 공개 현황 / 오규열 735
참고문헌 7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