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개설서
『북한의 역사 만들기』 (푸른역사, 2003) 작성자 한국역사연구회 BoardLang.text_date 2016.07.01 BoardLang.text_hits 17,619 |
|
이 책은 역사학 본연의 입장에서 남한 역사학계의 성과와 비교하되, 가능한 그간 별로 정리되지 않았던 1980년대 후반 이후 북한의 역사학 연구를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앞부분에서는 큰 틀에서 북한 역사학계의 구성과 활동 및 시대 구분론, 단군릉 발견 이후의 상고사 연구와 대동강 문화론, 그리고 전근대와 근현대 반침략 투쟁사를 다루고 이어 북한의 정치사, 사상사, 생활풍속사 연구 성과를 정리하였다. 책머리에|북한 역사학을 뒤돌아보며 북한 역사학 관련 연표 북한 역사학계의 구성과 활동 - 김광운 북한 현대 사학사의 징검다리로
북한 학계의 활동 경험을 반추하는 계기로 북한의 한국사 시대 구분론 - 도면회 서로 다른 시대 구분 방식
1-1 1950년대 후반 북한 역사학계의 흐름 1-2 고중세 시대 구분론 1-3 근현대 시대 구분론
2-1 주체사관의 적용 과정 2-2 고대 중세사회론의 심화 2-3 주체 역량에 의한 근현대사 구분론
3-1 민족 개념의 변화와 '우리 민족 제일주의' 3-2 평양 중심의 역사 인식 남북한 시대 구분론의 합일을 위하여 단군릉 사건과 대동강문화론의 전개 - 권오영 북한 역사학계의 대전환-단군릉의 발견
1-1 해방 ~ 1950년대 1-2 1960년대 1-3 1970년대 ~ 1980년대
2-1 단군릉 발견과 진위 문제 2-2 단군릉 사건 이후 고조선 연구의 변화
3-1 대동강문화론 대두의 배경 3-2 대동강문화론과 평양성지론 3-3 대동강문화론과 우리 민족 제일주의 포기할 수 없는 남·북한 학술교류 북한의 전근대 반침략 투쟁사 연구 - 김순자 북한 역사학의 가장 중심적인 주제, 반침략 투쟁사
북한의 사상사 연구 동향 - 박광용 북한의 사상사 연구에 대한 문제의식
선진적 업적과 학문적 유산을 남긴 사상사 분야 북한의 고중세 정치사 연구 - 연갑수 전근대 정치사 연구의 새로운 경향
1-1 인민 중심의 역사서술 체제의 수립 과정과 정치사 서술의 특징(해방 ~ 1960년대) 1-2 정치사 서술의 박제화와 인식의 답습(1970 ~ 80년대)
2-1 역사 연구 주제의 다양화 경향과 정치제도사 연구의 특화 2-2 북한의 정치제도사 이론화 시도와 남북 역사학계의 교류 전망 좁아지는 남북 학계 인식의 차이 북한의 생활풍속사 연구 - 박현순 북한의 민속학과 생활풍속사 연구
북한 사회의 변화와 생활풍속사 연구 북한의 근현대 반침략 투쟁사 연구 - 신주백
1-1 온갖 전통의 망라(1945 ~ 1952) 1-2 혁명전통의 확립(1952 ~ 1967) 1-3 주체사관의 정립과 반침략 투쟁사의 박제화(1967 ~ 현재)
2-1 갑신정변 2-2 항일무장투쟁사
북한의 대표적 역사학자 논저목록 주석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