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궐내각사, 남은 잔디밭
홍순민(중세사 2분과) 수정전에서 경복궁의 서문인 영추문(迎秋門) 사이에는 지금은 잔디밭이 널찍하게 깔려 있다. 봄 가을이면 '웨딩 포토' 찍는 신랑, 신부들만이 발디딜 틈이 없이 들어차 북적댄다. 하지만 본디 궁궐에 잔디밭을 깔았을 리 없다. 우리 전통 조경에서는 사람이 사는 집 담장 안에는 잔디를 깔지 않았다. 하물며 궁궐 안에 웬 잔디밭이 그리 넓으랴.
경복궁의 옛 도면을 보면 이 구역에도 역시 건물들이 서로 담장이나 행각을 잇닿아 빽빽히 들어 차 있었다. 처음 들어오는 사람은 어느 문으로 들어가야 할지 길을 잃고 헤매었을지도 모를 정도였다. 궁궐은 왕이 사는 곳이자, 다른 한편으로는 왕이 최고 통치자로서 각종 활동을 하는 곳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궁궐은 왕을 측근에서 모시고, 또 만나서 정치와 행정을 비롯하여 국정 전반을 논의하고 집행하는 관원들의 활동공간을 포함하고 있었다. 궁궐에 들어와 있는 관서들을 합하여 궐내각사라 부른다. 이 구역은 궁궐의 또 다른 본령의 핵심을 이루는 곳, 궐내각사가 모여 있던 곳이다.
경복궁 창건 초기의 기록을 보면 경복궁에는 주방(廚房), 등촉인자방(燈燭引者房), 상의원(尙衣院), 양전사옹방(兩殿司饔房), 상서사(尙瑞司), 승지방(承旨房), 내시다방(內侍茶房), 경흥부(敬興府), 중추원(中樞院), 삼군부(三軍府) 등의 관서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정치제도가 정비됨에 따라 궐내각사는 점점 많아졌다.
임진왜란으로 파괴되기 이전 경복궁이 제모습을 온전히 갖추었을 때는 ① 내반원(內班院), 상서원(尙瑞院), 사도시(司導寺), 상의원(尙衣院), 내의원(內醫院), 사옹원(司饔院), 전설사(典設司), 전연사(典涓司), 사복시(司僕寺) 등 왕을 비롯해 궁궐 구성원의 생활과 활동을 보좌하는 실무 관서, ② 흠경각(欽敬閣), 보루원(報漏院), 관상감(觀象監), 간의대(簡儀臺) 등 천문과 시각을 관측하는 기구, ③ 도총부(都摠府)와 같은 궁궐 수비를 담당하는 군무(軍務) 관서, ④ 춘추관(春秋館), 승정원(承政院), 홍문관(弘文館), 예문관 (藝文館), 교서관(校書館), 승문원(承文院) 등 왕을 측근에서 시종(侍從)하며 학문과 정치 행정을 담당하는 정무(政務) 관서 등 대단히 많은 관서들로 들어찼다.
고종 초년 경복궁이 중건된 뒤에도 궐내각사 구역은 면적이나 위치는 대체로 임진왜란 이전과 거의 같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제도와 관서의 변화에 따라, 그리고 동궐―창덕궁 및 창경궁과의 관계에 따라 경복궁 궐내각사 구역에 배치된 관서의 수와 그 명칭들은 상당히 많이 바뀌었다. 왕의 시중을 드는 내시들의 공간인 대전장방(大殿長房), 궁궐의 음식을 만들고 음식을 담는 그릇을 조달하는 주원(廚院, 司饔院), 내시들을 통솔하는 내반원(內班院), 왕명을 출납하는 승정원(承政院), 대신들의 회의 공간인 빈청(賓廳), 왕의 경호요원 ―선전관의 관서인 선전관청(宣傳官廳), 검서청(檢書廳), 왕과 학문과 정치를 토론하는 옥당(玉堂, 弘文館), 왕실 전용 병원인 약방(藥房, 內醫院), 학문과 서적을 관리하는 내각(內閣, 奎章閣) 등이 확인된다.
지금 경복궁에는 궐내각사에 해당하는 건물은 하나도 없다. 1910년을 전후하여 하나 둘 헐려나가기 시작하다가, 1915년 일제가 경복궁에서 이른바 시정오년기념조선물산공진회를 열면서 결정적으로 빈터가 되어 버렸다. 이곳에 정치와 행정을 담당하던 관서들이 있었으리라고는 짐작조차 하기 어렵게 되어 버렸다. 그러니 궁궐은 그저 왕과 왕비, 후궁이 뒤섞여 시앗 싸움이나 하던 곳으로 인식되게 되었다. 덩달아 조선시대는 꼼짝없이 그 시앗 싸움에 얽혀 당쟁이나 일삼던 시대로 낙인찍히게 되었다. 식민사학의 당파성론(黨派性論)이 만들어 놓은 인식이다. 일제의 궁궐 파괴의 효과는 이렇게 아직까지도 살아 남아 있다. |
|